1. 퇴직금 세금, 왜 떼일까?
퇴직금은 근로소득과 다르게 퇴직소득으로 분류되며, "퇴직소득세"가 부과됩니다.
퇴직소득세는 국세(소득세)와 지방세(지방소득세)로 구성되며, 소득세법에 따라 일정 부분을 공제한 후 세율이 적용됩니다.
2. 퇴직금 실수령액 계산법
① 퇴직소득 과세표준 구하기
퇴직소득 과세표준 = (총 퇴직금 - 근속연수공제 - 공제금액) ÷ 근속연수 × 1.2
② 퇴직소득세 계산
과세표준(만원) | 세율(%) | 누진공제(만원) |
---|---|---|
800 이하 | 6 | 0 |
3,000 이하 | 15 | 90 |
7,000 이하 | 24 | 390 |
14,000 이하 | 35 | 1,290 |
14,000 초과 | 42 | 2,490 |
③ 지방소득세 계산
퇴직소득세의 10%를 추가로 지방세로 납부해야 합니다.
3. 퇴직금 세금 줄이는 방법
- 퇴직금 지급 방식을 조정: 일시 지급이 아닌 분할 지급을 고려하면 세금 부담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.
- IRP(개인형 퇴직연금) 활용: 퇴직금을 IRP 계좌로 이체하면 퇴직소득세 납부를 유예할 수 있습니다.
- 퇴직연도 조정: 소득이 낮은 해에 퇴직하면 누진세율 적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.
4. 결론
퇴직금을 받을 때 세금이 부과되는 구조를 이해하면 예상보다 적은 금액을 받는 실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. 퇴직 전에 퇴직소득세를 미리 계산해 보고, 절세 전략을 세워 실수령액을 최대한 늘리세요!
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! 😊
'노동법 & 퇴직 관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퇴직금 중간정산, 아무나 받을 수 있을까? 꼭 알아야 할 조건과 주의사항 (0) | 2025.04.14 |
---|---|
주 52시간제 정확히 알기 – 직장인과 사장님 모두 알아야 할 근로시간 기준 (0) | 2025.04.08 |
임금 체불 신고 방법 – 급여를 못 받았다면 이렇게 하세요! (0) | 2025.04.04 |
연차 휴가, 회사가 안 준다면? 꼭 알아야 할 내 권리와 대처법 (0) | 2025.03.25 |
해고당했을 때 대처법 – 실업급여, 부당해고 구제 신청까지 완벽 정리! (0) | 2025.02.27 |